해양생물 사육시험



2022년부터 실시해 온 ALPS 처리수를 사용한 해양생물 사육시험은 계획한 시험을 모두 완료하여 2025년 3월 31일부로 종료되었습니다.

해양생물 사육시험(2025년 3월 종료)이란?

바닷물로 희석한 ALPS 처리수를 사용하여 해양생물을 사육했습니다.

"해양생물 사육시험"은 ALPS 처리수의 해양 방출에 있어서 실시 주체인 당사가 실제로 ALPS 처리수를 해수로 희석한 물로 광어와 전복과 같은 해양생물을 사육하고, 그 사육 상황과 결과에 대해 정보를 공개해 온 일련의 활동입니다.
해양 방출 전인 2022년 3월부터 연습 사육을 시작하여 2022년 10월부터 2025년 3월까지 ALPS 처리수를 사용한 사육시험을 실시하였습니다.
사육 기간 중 해양생물의 사육 상황과 사육을 통해 알게 된 사실 등을 수시로 당사 웹사이트나 SNS로 발신해 왔습니다. 또한 사육 과정을 담은 라이브 카메라 영상을 SNS로 널리 공개해 왔습니다.

사육 상황 공개

해양생물 사육시험 실시에 맞춰 사육일지(web, X)와 사육영상(YouTube) 등을 통해 사육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 왔습니다.
아카이브는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사육시험을 통해 보여드린 내용

사육시험을 통해 아래 시험 결과 등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 보여 드렸습니다.

  • "일반 해수"와 "바닷물로 희석한 ALPS 처리수" 양쪽의 환경에서 사육하여 생육 상황에 차이가 보이지 않았던 점.

  • 과거에 여러 기관에서 보고한 "삼중수소 농도가 생육 환경 보다 더 높아지지 않는 것"는 학술적인 지견과 동일한 경향이 "해양생물 사육시험"에서도 확인되었다는 점.

※ 이러한 시험 결과에 대해서는 팜플랫이나 동영상 등을 통해서도 자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팜플랫(일본어판)】

リーフレット

사육시험 내용

사육 환경 水槽
❶통상 해수
水槽
❷바닷물에서 1,500베크렐/리터 미만으로 희석된 ALPS 처리수
水槽
❸바닷물로 30베크렐/리터 정도 희석한 ALPS 처리수
水槽
❹바다에 방출되는 물
[리터당 260베크렐 정도]
사육 대상·시험 시작 광어
  • ❶, ❷, ❸의 물을 사용한 사육 상황 비교 시험(성장 상황 및 생존율 비교)
  • 자유수형 삼중수소의 체내 농도 시험(흡수시험에 ❷, 배출시험에 ❶의 물을 사용)
  • 자유수형 삼중수소의 체내 농도 시험(흡수시험에 ❸, 배출시험에 ❶의 물을 사용)
  • 유기결합형 삼중수소의 체내 농도 시험(흡수에 ❷, 배출에 ❶의 물을 사용)
  • 2024년 10월 15일부터 사육만 실시
전복
  • ❶과 ❷의 물을 사용한 사육 상황 비교 시험(성장 상황 및 생존율 비교)
  • 자유수형 삼중수소의 체내 농도 시험(흡수에 ❷, 배출에 ❶의 물을 사용)
  • 2024년 10월 15일부터 사육만 실시
해조류
  • 자유수형 삼중수소의 체내 농도 시험(흡수에 ❷, 배출에 ❶의 물을 사용)
    -

사육 시험에서의 환경 설정

  • 통상해수

  • 바닷물에서 1,500베크렐/리터 미만으로 희석된 ALPS 처리수

    ALPS 처리수의 처분에 관한 정부의 기본 방침으로 정해진 리터당 1,500베크렐 미만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트리튬 농도를 리터 당 1,500 베크렐 미만으로 조정.

  • 바닷물로 30베크렐/리터 정도 희석한 ALPS 처리수

    확산 시뮬레이션에서 방수 터널 출구 주변의 트리튬 농도가 리터 당 약 30 베크렐이므로, 이에 따라 리터 당 약 30 베크렐로 조정.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방수 출구 주변의 연평균 최고 농도(리터 당 약 30베크렐)

  • 바다에 방출되는 물[리터당 260베크렐 정도]

    해양 방출 개시 후에는 바다에 방출되는 물(리터당 260베크렐 정도) 에서도 사육 시험을 실시할.

사육시험의 주요 활동

사육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전에 반년 이상에 걸쳐 연습 사육을 실시했으며, 2022년 9월 30일부터 ALPS 처리수를 사용한 사육시험으로 이행했습니다. 계획했던 시험을 모두 마치고 2025년 3월 31일부로 사육시험을 종료하였습니다.

2022년

3월 17일

통상 해수에서의 연습 사육 개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통상 해수에서의 연습 사육 개시

통상 해수에서의 연습 사육 개시

6월 9일

쇠약해져 있던 광어의 아가미에서 기생충을 확인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그 후 염수욕 및 UV살균장치 설치 등 기생충 대책 실시

쇠약해져 있던 광어의 아가미에서 기생충을 확인

쇠약해져 있던 광어의 아가미에서 기생충을 확인

9월 13일

사육 시험용 수조에서 환경 적응을 위한 예비 사육 개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사육 시험용 수조에서 환경 적응을 위한 예비 사육 개시

사육 시험용 수조에서 환경 적응을 위한 예비 사육 개시

9월 30일

광어의 사육 시험 개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광어의 사육 시험 개시

광어의 사육 시험 개시

10월 3일

시험용 수조에 ALPS 처리수 첨가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시험용 수조에 ALPS 처리수 첨가

10월 25일

전복의 사육 시험 개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전복의 사육 시험 개시

전복의 사육 시험 개시

12월 26일

넙치의 체액 내 트리튬(자유수형 트리튬[이하 FWT라 한다]) 흡수·배출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넙치의 체액 내 트리튬

2023년

5월 1일

전복의 FWT 흡수·배출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전복의 FWT 흡수·배출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5월 9일

해조(모자반) 사육 시험 시작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해조(모자반) 사육 시험 시작

해조(모자반) 사육 시험 시작

5월 10일

해양 생물 전문가가 넙치, 전복의 생육 상황 확인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해양 생물 전문가가 넙치, 전복의 생육 상황 확인

5월 31일

해조류의 FWT 흡수·배출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해조류의 FWT 흡수·배출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12월 11일

넙치의 근육 내 트리튬(유기 결합형 트리튬[이하 OBT라 한다]) 흡수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넙치의 근육 내 트리튬(유기 결합형 트리튬[이하 OBT라 한다]) 흡수 시험 결과를 '해양 생물 사육 일지'로 공표

2024년

1월 10일

넙치의 OBT 배출 시험 시작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넙치의 OBT 배출 시험 시작

10월 15일

환경에 방출된 물을 사용한 넙치, 전복 사육 시작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환경에 방출된 물을 사용한 넙치, 전복 사육 시작

환경에 방출된 물을 사용한 넙치, 전복 사육 시작

2025년

3월 27일

2년 반에 걸친 광어 OBT 흡수·배출 시험결과를 "해양생물 사육일지에 공표"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試験結果を海洋生物飼育日誌で公表

試験結果を海洋生物飼育日誌で公表

3월 28일

해양생물 사육시험 종료에 따른 인사말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

海洋生物の飼育試験 終了

海洋生物の飼育試験 終了

海洋生物の飼育試験 終了

海洋生物の飼育試験 終了

3월 31일

해양생물 사육일지 종료 자세한 내용은 이쪽으로